본문 바로가기
나 아파...

강아지의 심한 기침, 기관지 협착증은 아닐까?

by 견생도감 2023. 11. 15.
반응형

잠깐!


만약 반려견이 호흡을 가쁘게 쉬다가 기절하거나
잇몸이 푸른색, 회색빛을 띈다면 상태가 매우 안 좋은 것이기 때문에
당장 동물 병원으로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Pixabay

 

1. 강아지 기관지협착증이란 무엇인가?

2. 강아지가 기관지협착증에 걸리는 이유와 치료

3. 기관지 협착증에 대한 기타 사항

 
 
 

간단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간단 요약!.jpg
0.66MB

 
 


 

1. 기관지 협착증이란 무엇인가?

 

출처 : Canva

 

정의

정식 명칭은 Tracheal Collapse, 기관 붕괴 또는 기관 허탈이라고도 합니다. 만성적인 기침을 유발하는 기관(목부터 폐까지)의 진행성 질환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병증이 심해지는 질병이라고 합니다. 완벽한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어느 정도 증상 완화가 가능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출처 : Canva

 

증상

기관지협착증을 앓는 강아지의 주요 증상으로는 마른기침, 호흡 곤란, 헛구역질, 비정상적으로 빠른 호흡, 비정상적인 호흡음, 푸른색 잇몸, 기절 등이 있으며, 특이한 호흡음과 마른 기침마른기침이 관찰할 수 있는 주요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괜찮다가도 흥분, 식사 후, 물을 마신 후, 열을 받을 때 등 특정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출처 : Canva

 

진행

기관지협착증은 병증이 심해질수록 기관을 형성하는 연골이 점차 약해지면서 기관의 모양이 점점 무너집니다. 이를 총 4가지 단계로 나누며 1~2단계의 경우는 일상적인 관리와 약물만으로도 증상 개선이 가능하지만, 3~4단계의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Canva

 

진단

진단 방법으로는 엑스레이 촬영과 투시법(영상)을 활용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섬세한 검사를 위해 기관지경술이라는 일종의 내시경 같은 검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관지경 검사의 경우 기관 내부의 이물질, 출혈, 염증, 종양 등 다양한 이상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기저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나 소변 검사와 같은 일반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심장 비대가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심초음파 검사와 같은 심장질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손으로 기도나 흉부에 가벼운 압박을 가해 기침을 유도하여 기관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기관지 협착증에 걸리는 이유와 치료

 

출처 : Pixabay

 

원인

기관지협착증의 주요 발병 원인은 명확하진 않지만 몇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있다고 합니다. 먼저 선천적으로 기관 내 연골이 약할 경우입니다. 주로 소형견 품종단두종 품종들이 취약하기 때문에 때때로 유전이라고 보기도 하며, 호흡기의 구조적인 문제라던가 태생적으로 연약한 기관을 원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또한 비만의 경우 목 주위의 지방이 기관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담배 연기와 같은 지속적인 기도 자극을 경험한 경우나 켄넬 코프와 같은 기도 감염 또는 질병 이력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일부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확장된 심장이 기도를 압박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네요.
 


 

출처 : Canva

 

치료

기관지협착증은 완전히 치료할 순 없지만 약물이나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약물의 경우 기침 억제제, 항염증제, 기관지 확장제, 진정제, 항생제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술의 경우 링 보철물 시술이나 스텐트 시술을 활용합니다. 부작용 때문인지 수술은 딱히 권장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약물 치료는 평생 받아야 하며, 수술 또한 성공적으로 마치더라도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는 받아야 하고 이후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정기 검진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산소 요법이 필요할 수 있으며 때때로 입원해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 Canva

 

관리

만약 비만인 강아지라면 체중 감량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식단 조절을 통해서 체중을 감량해야 하며, 이는 수의사와 상담 후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목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바디 하네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흥분하는 것은 상태를 악화시키기 때문에 최대한 흥분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개의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 담배 연기, 먼지 등의 자극 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줄여야 합니다. 수의사의 처방을 잘 따르고, 언제든지 상태가 악화되면 수의사에게 연락해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겨울철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네요!
 
 


 

3. 기타 사항

출처 : Canva

 
 

기관지협착증에 잘 걸리는 견종

요크셔 테리어, 포메라니안, 치와와, 시츄, 토이 푸들, 패키니즈, 퍼그 등 소형견 및 단두종 품종이 있습니다. 당연히 모든 견종에서 기관지협착증은 생길 수 있습니다.
 

기관지협착증에 걸린 개의 예후

기관의 약화는 적절한 치료를 받고 관리를 하더라도 계속해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평생 약물 치료가 필요하고 부작용 등의 변수가 있어서 개마다 예후가 많이 다르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개들은 경증에서 그치기 때문에 충분한 관리와 약물 치료만으로도 정상적인 수명을 살 수 있으며, 기관이 과도하게 붕괴된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4단계일 경우 6개월 미만으로 보는 편인 것 같습니다.
 

합병증?

기관지협착증을 앓고 있는 강아지들은 꽤나 높은 확률로 심장 질환, 간 질환 등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심장 질환(심장 비대)은 기관지협착증의 원인이 되었을 확률이 높고, 반대로 간 질환은 기관지협착증이 원인이 돼서 생겼을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약물 치료

기침 억제제 : 개가 기침을 할 때마다 기도가 자극을 받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처방한다고 합니다. 기관이 무너지는 것과 염증은 별개의 증상이지만 염증에 의한 붓기는 좁아진 기관을 더욱 좁게 만들고 상처를 내며 더 많은 기침을 유발합니다.
 
항염증제 : 스테로이드성 약물로 기관의 부기와 염증을 줄이기 위해 처방합니다. 경구용과 흡입형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 오히려 감염을 촉진시키고 연골을 더욱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흡입형은 부작용이 덜하다고 하네요.
 
기관지 확장제 : 폐 내의 작은 기도를 넓혀 기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줄 순 있지만 기관이 실제로 넓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논란이 있다고 하네요.
 
진정제 : 개가 불안하거나 흥분하면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처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항생제 : 기관지협착증이 있는 개는 호흡기가 감염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감염 여부에 따라 처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술 치료

수술 치료에는 링 보철물 수술과 메쉬 스텐트 시술 두 가지가 있으며, 100% 확률은 아니지만 두 가지 모두 부작용이 심하기 때문에 딱히 권유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기관이 심하게 무너지면 시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많은 보호자분들이 걱정하시는 기관지 협착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가끔씩 저희 귀리도 밥이나 물을 먹고 나서 나 산책 중에 가끔 흥분해서 앞으로 튀어나갈 때면 목줄에 걸려 켁켁 거릴 때가 있습니다.
 
최근 들어 문득 기도에 무리가 가진 않을까.. 하네스로 바꿔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강아지가 기침을 하고 켁켁거린다고 반드시 기관지협착증을 의심할 필요는 없겠지만 자꾸 걱정이 되는 게 보호자 마음인가 봅니다...ㅎㅎ
 
시중에 유통되는 영양제는 대부분 증상 개선에 효과가 없을 확률이 높아 권유되지 않는 편이며 차라리 준다면 염증을 낮춰줄 꿀이나 프로폴리스 정도라고 하네요. 혹시 일반 의약품 등을 구했더라도 수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대로 약을 복용시키거나, 처방받은 약이라도 복용량을 마음대로 조절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본 포스팅의 모든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경우에 따라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이 수의사의 진단과 조언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해당 질병에 대한 내용은 참고하시되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반려견을 치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https://www.petmd.com/dog/conditions/respiratory/c_dg_tracheal_collapse
https://www.petmd.com/dog/general-health/collapsing-trachea-dogs-everything-you-need-know
https://www.vet.cornell.edu/departments-centers-and-institutes/riney-canine-health-center/health-info/tracheal-collapse
https://veterinarypartner.vin.com/default.aspx?pid=19239&id=4951968
https://vcahospitals.com/know-your-pet/tracheal-collapse-in-dogs
https://www.thesprucepets.com/tracheal-collapse-in-dogs-4108017
https://www.dogster.com/dog-health-care/collapsed-trachea-in-dogs
https://www.dogster.com/lifestyle/ask-a-vet-how-can-i-recognize-and-deal-with-collapsing-trachea
https://www.webmd.com/pets/dogs/tracheal-collapse-dogs
https://www.marvistavet.com/tracheal-collapse.pml
https://wagwalking.com/condition/tracheal-collapse
https://www.youtube.com/
도서 : 애견 질병학 / 김남중 외 7명 / 21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