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행성망막위축증이란 무엇인가?2. 진행성망막위축증에 걸리는 이유 및 치료3. 기타 사항 |
간략하게 보고 싶다면?
1. 진행성망막위축이란 무엇인가?
정의
정식 명칭은 Progressive Retinal Atrophy, 진행성 망막 위측증이라고 합니다. 망막에는 두 가지 유형의 빛을 감지하는 세포가 있는데, 이를 각각 간상체와 원추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PRA는 간상체와 원추체가 위축되면서점진적으로 시력을 잃어가는 질병입니다.
증상
진행성망막위축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밤 산책을 꺼려하거나 어두운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며, 낯선 장소에서 여기저기 부딪치게 됩니다. 그리고 동공이 과도하게 확장되며 어둠 속에서 눈에 빛이 비치면 반사되어 눈이 많이 빛날 수 있습니다. 눈이 뿌옇게 보이고 광택이 생길 수 있으며, 눈이 회색을 띨 수 있습니다. 통증이 없기 때문에 병이 진행되고 한참 지나서 보호자가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진행
두 눈 모두 실명하는데 1~2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개가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간상체가 먼저 퇴화하여 야간 시력이 떨어지게 되어 야맹증 증상을 보이고, 원추체도 점차 퇴화되어 완전한 실명에 이르게 된다고 합니다. 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 백내장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형태
진행성망막위축증은 조기 발병형과 후기 발병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조기 발병 진행성망막위축증의 경우 드물게 발생하며 8~12주 정도의 강아지에게 발생합니다. 시력을 빠르게 상실하고 망막 이형성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후기 발병 진행성망막위축증의 경우 3~9세의 성견에서 발생하며 두 눈을 완전히 실명하는데 1~2년 정도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진단
진행성망막위축증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간접 검안경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망막을 검사하는 방법이 있으며, 백내장 등의 문제로 망막을 관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망막전위도(ERG) 검사라는 정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진행성망막위축증에 걸리는 이유와 치료
원인
진행성망막위축증은 유전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개는 부모견 모두에게서 열성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때 진행성망막위축증이 발생하지만 몇몇 품종의 경우 한쪽에게만 물려받아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치료
안타깝지만 진행성망막위축증은 치료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일부에서는 항산화제나 비타민 보충제를 통해서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백내장의 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네요.
관리
개는 비록 시력을 상실하더라도 후각과 청각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우수한 삶의 질을 누릴 수 있습니다. 때문에 약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서 개의 생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개집과 밥그릇, 물그릇 등은 항상 같은 공간에 두고 안전문 등을 활용해서 계단과 같은 위험 구역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 안의 가구들 또한 옮기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가구의 모서리에는 보호 커버를 씌워서 개다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병을 진단받은 뒤 완전한 실명에 이르기 전에 개가 환경을 탐색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명령어나 신체 접촉 시 놀라지 않을 수 있도록 접촉 신호를 가르치는 등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TV나 라디오 등을 항시 작동시켜 둠으로써 개들이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분수대 형식의 급수기나 충돌 방지 가드 등의 제품이 생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기타 사항
조기 발병 진행성 망막 위축/망막 이형성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품종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 핏불테리어, 실리엄 테리어, 벨기에 말리노이즈(셰퍼드), 브리아드, 카디건 웰시코기, 보더콜리, 아이리시 세터, 마스티프, 미니어처 슈나우저, 노르웨이 웰크하운드
후기 발병 진행성 망막 위축/진행성 망막 위축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품종
아키타, 아메리칸 코커스패니얼, 오스트레일리안 캐틀독, 셰퍼드, 바센지, 베들링턴 테리어, 보더 콜리, 브리아드,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 닥스훈트, 잉글리시 코커스패니얼, 프랑스 불독
골든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 노바스코사 덕 톨링 리트리버,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마스티프, 미니어처 푸들, 사모예드(수컷에게 흔함), 셰틀랜드 쉽 독, 시베리안 허스키(수컷에게 흔함), 실키 테리어, 티베트 테리어, 토이 푸들
간상체와 원추체
간상체 또는 간상세포는 막대 모양의 세포로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어두운 곳에서 잘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원추체 또는 원뿔 세포는 밝은 곳에서 색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에게 진행성망막위축증이 진행되면 간상체가 먼저 위축되고 이후 원추체가 위축되기 때문에 야맹증 증상이 먼저 나타나게 된다고 하네요! 만약 원추체가 간상체보다 먼저 위축되면 색맹 증상이 먼저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마무리.
오늘은 강아지의 시력을 빼앗아가는 질병인 진행성 망막위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른 눈 질병에 비교하면 통증이 없고 완전한 실명에 이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시력을 잃기 전에 준비할 시간이 있어서 그나마 양반인 편인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안구 질환은 강한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려견과 보호자 모두에게 큰 스트레스가 될 것 같습니다. 병원에서는 시력을 복구하기 힘들 것 같은 경우에는 안구 적출을 권유하기도 하더군요 차라리 그게 낫다고...ㅠㅜ
보통 안구 질환은 외상이 생긴 것이 아니라면 노견에게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만약에 반려견이 노견이 아님에도 야간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보인다면 진행성망막위축증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본 포스팅의 모든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경우에 따라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포스팅이 전문 수의사의 진단과 조언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해당 질병에 대한 내용은 참고하시되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반려견을 치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https://www.petmd.com/dog/condition/progressive-retinal-atrophy-in-dogs
https://vcahospitals.com/know-your-pet/progressive-retinal-atrophy-in-dogs
https://www.vet.cornell.edu/departments-centers-and-institutes/riney-canine-health-center/canine-health-information/progressive-retinal-atrophy
https://veterinarypartner.vin.com/default.aspx?pid=19239&id=5792409
https://wagwalking.com/condition/progressive-retinal-atrophy
https://www.akc.org/expert-advice/health/progressive-retinal-atrophy/
https://petkeen.com/progressive-retinal-atrophy-in-dogs/
https://www.naver.com/
https://pixabay.com/
'나 아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의 심한 기침, 기관지 협착증은 아닐까? (0) | 2023.11.15 |
---|---|
개의 코피, 작은 상처에도 피가 많이 난다면? 개의 유전성 출혈 장애 필빌레브란병에 대해 아시나요? 위험한 견종은? (1) | 2023.11.15 |
갑자기 절뚝거리는 뒷다리, 어린 강아지가 갑자기 뒷다리를 아파한다면? 강아지 레그 칼베 페르테스 병에 대해 아시나요? (1) | 2023.11.15 |
강아지 탈모, 음수량 증가, 배가 빵빵한 이유? 강아지 쿠싱병, 쿠싱증후군에 대해 아시나요? (0)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