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아지 쿠싱증후군이란 무엇인가?2. 강아지가 쿠싱증후군에 걸리는 이유와 치료3. 기타 사항 |
간단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1. 강아지 쿠싱병(CD)이란 무엇인가?
정의
쿠싱병의 정식 명칭은, Cushing's syndrome(쿠싱 증후군)으로 부신피질 항진증이라고도 합니다. 쿠싱병은 신장에 붙어 있는 호르몬 분비 기관인 부신이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면 발생하는 질병으로 이는 개의 신장을 손상시키거나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종양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증상
주로 7세 이상의 중, 노령견에게 발생하는 질병이며 주요 증상 및 합병증으로는 식욕 증가, 음수량 증가, 잦은 배뇨, 대칭형 탈모, 헐떡임 증가, 복부 팽만, 근육 약화, 재발성 피부 감염, 피부 민감, 재발성 요로 감염, 갑작스러운 실명, 발작,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진행
대부분의 보호자들이 음수량 증가와 잦은 배뇨 때문에 개에게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의심하게 된다고 합니다. 갑자기 물을 너무 자주 마시고 소변 실수를 엄청나게 많이 하거나, 실외 배변을 고집하는 개들의 경우는 새벽에 나가기 위해 문을 긁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고 합니다. 대칭 탈모와 복부 팽만 같은 증상은 발병한 지 시간이 꽤 지난 뒤의 증상이라고 하네요.
진단
개의 쿠싱병의 진단은 쉽지 않기 때문에 100% 확신할 수 있는 단일 진단 방법은 없다고 합니다. 때문에 몇 가지 방법을 조합해서 검사한다고 합니다. 검사 방법으로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자극 테스트,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종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복부 초음파 검사와 MRI 검사 등이 있습니다.
2. 개가 쿠싱병에 걸리는 이유와 치료
강아지가 쿠싱병에 걸리는 주요 원인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의원성 쿠싱병을 제외하면 쿠싱병의 주원인은 종양의 발생이고 이는 따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의존성
뇌하수체 의존성 쿠싱병은 뇌 기저부에 있는 뇌하수체에 종양이 발생하여 부신이 코르티솔을 만들게 하는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게 되면 발생합니다(뇌하수체에서 발생한 호르몬 -> 부신 자극 -> 코르티솔 생성). 전체 쿠싱병 사례의 80% 이상이 뇌하수체에 생긴 종양에 의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뇌하수체에 종양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 약물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권장되며 수술을 하면 좋지만 수술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보통 경구용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한다고 합니다.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은 부작용이 심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이고 평생 복용하며 살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뇌하수체에 발생한 종양은 양성이며 크기가 작지만 15~20%의 종양은 결국 자라면서 신경학적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치료가 상당히 어렵다고 하네요.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시 방사선 치료가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부신 의존성
부신 의존성 쿠싱병은 코르티솔을 생산하는 기관인 부신의 한쪽 또는 양쪽에 종양이 생겼을 경우에 발생합니다. 부신에 발생한 종양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며 악성일 확률과 양성일 확률이 비슷합니다. 전체 쿠싱병 사례의 15% 이상이 부신 의존성 쿠싱병입니다.
부신 종양이 양성일 경우 수술로 제거하면 정상적인 건강을 회복할 가능성이 높지만, 악성일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다고 합니다. 이미 전이가 된 경우라면 더욱 나쁘겠죠. 만약 수술이 어려운 경우라면 방사선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으며, 약물 치료가 권장됩니다.
의원성 쿠싱병
의원성 쿠싱병은 스테로이드성 약물을 장기간 또는 과다 복용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굉장히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약물로써 피부 알러지 완화, 염증 완화, 통증 완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에 의해 쿠싱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약물의 복용을 중단해야 하지만 이미 무너진 호르몬 체계가 회복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한 번에 중단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대신 스테로이드 약물로 치료하던 기존 질병의 증상이 다시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사항
약물 치료
보통 트리로스틴(베토릴), 미토탄(리소드렌)이라는 약물을 주로 치료에 사용하며 이 약물들은 부신의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해서 코르티솔 수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때문에 부신 세포가 과도하게 파괴되지 않도록 꾸준히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하네요.
쿠싱병에 걸린 강아지 수명
쿠싱병에 걸린 개의 평균 생존 기간은 종양의 위치와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치료와 관리가 적절하게 진행되고 악성이 아니라면 2~3년 정도이며 4년 이상 생존하는 개는 약 1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노령견이기 때문에 쿠싱병이 직접적인 사망 요인이 되었다기보다는 노화로 인한 다른 원인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뇌하수체 종양의 경우 약물로 치료 시 2~3년 정도의 생존 기간을 가지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를 통해 종양을 제거하면 더욱 예후가 좋다고 합니다.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자라나는 경우 예후는 더 나쁘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다고 하네요.
부신 종양의 경우 양성일 경우 수술을 통해 제거하면 2~4년 정도의 생존 기간을 가지고, 수술이 불가능해 약물로만 치료할 경우 약 1년, 악성일 경우에는 더 예후가 좋지 않다고 합니다.
쿠싱병에 걸리기 쉬운 견종
모든 품종에서 쿠싱병은 발생할 수 있지만 몇몇 품종에서 더 자주 진단된다고 합니다. 뇌하수체 의존형 쿠싱병은 푸들(특히 미니어처 푸들), 닥스훈트, 보스턴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 잭 러셀 테리어, 미니어처 슈나우져 등의 작은 품종에서 주로 관찰되고, 부신 의존성 쿠싱병은 스태퍼드셔 테리어, 불 테리어, 저먼 셰퍼드 등 보다 큰 품종에서 주로 관찰된다고 합니다.
쿠싱병의 진단
앞서 말씀드렸듯 쿠싱병은 단일 진단으로 확진을 내리기가 어려운 질병이기 때문에 다양한 검사를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결정을 내린다고 합니다.
진단 방법으로는,
· 혈액 세포를 살펴보기 위한 혈액 검사
· 신장 기능과 요로 감염을 확인하기 위한 소변 검사
· 특정 부신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저용량/고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테스트
· ACTH(코르티솔 자극 호르몬) 자극 테스트
· 부신의 종양을 확인하기 위한 복부 초음파 검사
· 뇌하수체 종양 확인을 위한 MRI 검사
등이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강아지의 쿠싱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쿠싱병은 워낙 많이 알려진 질병이라 많은 분들이 어떤 질병인지 대략적으로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증상만 보면 당뇨랑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질병이죠.
저희 집 귀리는 식이 알러지가 심해서 스테로이드 약물을 자주 처방받았는데, 수의사님께서 약을 점점 줄여 나가야 하고 장기간 사용하면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어서 강아지 건강에 안 좋다고 항상 이야기하셨습니다.
그래서 아... 그런가 보다 하고 자세히 물어보진 않았는데 이번에 그 부작용 중 하나가 쿠싱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만약에 아이가 중, 노령견이라면 꾸준히 건강검진을 받아서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아 보이네요.
* 해당 포스팅의 모든 내용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상황에 따라 내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포스팅은 수의사의 진단과 조언을 대신할 수 없으며, 해당 질병에 대한 내용은 참고하시되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반려견을 치료하고 관리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www.akc.org/expert-advice/health/cushings-disease-in-dogs/
https://www.petmd.com/dog/conditions/endocrine/cushings-disease-dogs
https://petkeen.com/is-licking-a-sign-of-cushings-disease/
https://www.lakecross.com/site/blog-huntersville-vet/2021/01/28/about-cushings-disease-in-dogs
https://veterinarypartner.vin.com/default.aspx?pid=19239&id=4951495
https://veterinarypartner.vin.com/default.aspx?pid=19239&id=4951513
https://wagwalking.com/condition/cushings-disease
https://www.webmd.com/pets/dogs/cushings-syndrome-dogs
https://www.marvistavet.com/what-exactly-is-cushings-syndrome.pml
https://www.vet.cornell.edu/departments-centers-and-institutes/riney-canine-health-center/health-info/cushings-syndrome
https://pixabay.com/ko/
'나 아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의 심한 기침, 기관지 협착증은 아닐까? (0) | 2023.11.15 |
---|---|
개의 코피, 작은 상처에도 피가 많이 난다면? 개의 유전성 출혈 장애 필빌레브란병에 대해 아시나요? 위험한 견종은? (1) | 2023.11.15 |
갑자기 절뚝거리는 뒷다리, 어린 강아지가 갑자기 뒷다리를 아파한다면? 강아지 레그 칼베 페르테스 병에 대해 아시나요? (1) | 2023.11.15 |
강아지가 갑자기 어두운 곳을 무서워한다면? 야맹증 증상으로 시작되는 유전병, 진행성망막위축증에 대해 아시나요? (0) | 2023.11.13 |